동작환경
Ruby 2.3.2
Ruby on Rails 5.2.4.2

Ruby와 프레임워크 Ruby on Rails를 다루는 기사로써 첫 주제는 프로젝트 생성을 다룹니다

Ruby on Rails의 프로젝트 생성

기본적으로 Ruby의 프로젝트는이하의 명령어로 생성이 가능

rails new ‘프로젝트 명’
성공적으로 프로젝트가 작성되었다면 이하의 디렉토리 구조로 생성이 됨

Ruby on Railsでアプリを作ろう!cloud9で始めるアプリ開発入門 | GMO ...

주요 디렉토리・파일
app – 어플리케이션개발에 필요한 Model, View, Controller가 존재하는 디렉토리
config – 프로젝트관련 설정 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
Gemfile(lock) – 현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고있는 라이브러리(Ruby는 라이브러리를 Gem이라고 명명함)의 정보를 가지고있는 파일

Rails의 라이브러리를 담당하는 bundler

bundler를 사용해 어플리케이션에 사용할 라이브러리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

bundle init → 어플리케이션에 사용할 bundler를 설치
bundle install –path vendor/bundle → Gem파일 안에있는 라이브러리를 현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도록 설치

Rails서버 기동

bundle exec rails server 를 커맨드라인에 입력
localhost:3000으로 접속시 이하의 화면이 출력된다면 접속 성공 Ruby on Rails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젝트 생성이완료

bundle exec : 현재의 라이브러리(bundle 환경에서)
rails server : 로컬서버 가동 명령어

Welcome画面のスクリーンショット